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플리바겐(Plea Bargain) 뜻 과 사례소개 쉬운설명

by let's healthy 2025. 9. 12.
반응형

📌 플리바겐(Plea Bargain) 뜻과 사례  ✅

플리바겐 뜻
플리바겐 뜻

 

플리바겐(Plea Bargain) 뜻과 실제 사례 쉬운설명! 어산지, 스티븐 김, 권도형 사건 등 해외와 한국 사례를 쉽게 이해하고, 장단점과 한국 적용 논의까지 확인하세요.


1. 플리바겐(Plea Bargain)이란?

 

 

  • 플리바겐(Plea Bargain) 또는 플리 바게닝(plea bargaining)이라고 불립니다.
  • 플리(Plea) : ‘죄를 인정하다’
  • 바겐(Bargain) : ‘거래, 협상’
  • 우리나라에서는 사전형량조정제도, 유죄답변거래, 유죄협상제도라고 통용됩니다.
  • 즉, 유죄를 인정하는 대신 형량을 줄여주는 거래를 말합니다.
검사가 “잘못했다고 인정하면 형을 좀 가볍게 해줄게” 하고 제안하는 거야.

피의자(범죄 혐의가 있는 사람)는 재판에서 오래 싸우는 대신 “맞아, 내가 잘못했어”라고 인정하고, 대신 벌을 줄여받는 거야.

👉 쉽게 말하면 **“재판 대신 합의해서 형을 깎아주는 제도”**야.

2. 플리바겐 구조 (쉽게 이해하는 표)

 

구분 설명 예시
피고인 유죄 인정 “제가 했습니다.”
검찰 형량 감경 징역 10년 → 3년
법원 합의 검토 판사가 합법성 확인
결과 재판 단축, 비용 절감 몇 달 → 며칠 만에 끝남

 

 

 


3.  플리바겐 실제 사례 🌍

✅ 줄리안 어산지 (Julian Assange)

줄리안 어산지
.줄리안 어산지 : 사진 BBC

  • 무슨 사건이야
    위키리크스 창업자 어산지가 미국 정부 기밀 문서 유출 등 여러 혐의로 기소되었고, 여러 나라에서 법정 공방이 있었어. 
  • 플리바겐 형태는
    2024년 6월에 미국 검찰과 어산지가 plea deal을 맺고, 미국 법에서 “국방 기밀 정보를 부정하게 취득하여 유출한 혐의(conspiring to obtain and disclose classified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하나의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함. 
  • 형량 및 조건
    유죄 인정 후 판결은 62개월(약 5년 2개월)이었는데, 이미 한국 기준으로는 미국 본토가 아닌 벨마쉬 감옥(Belmarsh, 영국) 등에서 수감된 기간이 이 형량에 포함됨 → 결국 추가로 감옥에 더 있지 않게 됨.
    또한, 나머지 다른 기소된 혐의들(18개 정도 있었음)은 모두 철회됨.
  • 의미 + 논란
    언론 자유 vs 국가 안보의 균형 문제로 논란이 큼. 일부 인권단체는 이런 플리바겐이 앞으로 언론의 취재·보도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우려함. 

✅ 스티븐 김 (Stephen Jin‐Woo Kim)

 

스티브 김 플리바겐 :사진 AP

  • 무슨 사건이야
    미국 정부 계약직 분석관(contract analyst)이었고, 북한 관련 국방 정보(North Korea’s reaction to UN 대북 제재 등)를 언론인에게 무단으로 제공한 혐의. 
  • 플리바겐 형태는
    재판 가기 전에 plea agreement를 맺고, 유죄 인정(unauthorized disclosure of national defense information)하는 걸로. 
  • 형량 + 조건
    • 징역 13개월(13 months in prison) + 1년 보호관찰(supervised release) 
    • 피고인은 법원 승인을 조건으로 허가된 plea agreement를 시행함. 

✅ 권도형 플리바겐 합의 정리

권도형 플리바겐
권도형 플리바겐 : 사진 AP연합

1. 사건 개요

  • 인물: 권도형, 테라폼랩스 설립자
  • 혐의: 스테이블코인 테라USD 발행 관련
    • 사기 공모(conspiracy to commit fraud)
    • 통신망을 이용한 사기(wire fraud)

2. 플리바겐(plea bargain) 합의

  • 권도형이 유죄 인정 → 형량을 낮추는 조건으로 검찰과 합의
  • 검찰은 권도형에게서 약 1,900만 달러(약 263억 원) + 일부 재산 환수

3. 형량 관련

  • 원래 법정 최대 형량: 25년형
  • 합의 후 검찰 구형: 최대 12년형

4. 추가 조건

  • 최종 선고 형량의 절반을 미국에서 복역
  • 이후 플리바겐 조건을 준수하고, 권도형이 원하면
    남은 절반 형기는 한국에서 복역 가능

👉 정리하면, 권도형은 처음엔 무죄를 주장하다가 입장을 바꿔 유죄를 인정했고, 플리바겐을 통해 **형량을 절반 이하(최대 12년)**로 줄이는 데 성공했어요.


4. 장단점 정리

장점 ✅ 단점 ⚠️

재판 비용·시간 절약 무죄 가능성 피고인도 유죄 인정 가능
수사 효율 ↑ 부유층·권력층 유리 가능
검찰·법원 부담 경감 정의 실현 약화 가능

 


5. 한국에서의 논의 

  • 법적으로 제도화는 안 됨
  • 권도형 사건 등 대형 범죄에서 도입 논의 활발
  • 정의와 효율 균형 논쟁 지속

 


✨ 결론

  • 플리바겐은 형사재판의 거래로, 어산지·스티븐 김·권도형 사건 등에서 실제 활용
  • 한국은 논의 단계, 장단점 고려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