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은 보통 추운 겨울에 많이 걸려서 독감예방접종은 9월~10일에 많이 합니다. 그러나 최근에 여름이 끝나가는 무렵인데 독감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과연 독감이 무엇이고, 독감증세와, 치료방법, 언제 학교나 회사에 갈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독감은 무엇인가요?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에 따르면
독감으로 알려져 있는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질환입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크게 A, B, C 형으로 구분되는데 주로 A형과 B형이 사람에게 인플루엔자를 유발합니다.
C형도 사람에게 드물게 감염을 일으키기는 하나 증상은 심하지 않습니다.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은 일반적으로 돼지나 닭, 칠면조, 오리와 같은 가축 또는 야생조류에게 발생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같은 종끼리의 감염을 넘어 인체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독감 증상은 무엇인가요?
독감은 감기와 달리 인플루엔자는 고열이 갑작스럽게 시작합니다.
고열은 약 38~41℃ 발생합니다.
인플루엔자는 두통, 피로감, 근육통 및 관절통 등 소위 심한 몸살이라고 표현하는 전신 증상이 뚜렷하여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입니다.
고열과 심한 근육통 등은 독감약을 복용하면 초기 2~3일 동안 심하며, 이후에 호전됩니다.
단순 인플루엔자에서 급성 증상 및 징후는 대개 2~5일에 걸쳐 호전되며 대부분 1주 내에 거의 회복되지만, 기침은 수개월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독감검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병원에 가시면 독감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 검사와 마찬가지로 큰 면봉으로 이용하여 콧속을 찌릅니다.
독감진단키트를 이용하면 약 5분 뒤 의사 선생님께서 독감 여부를 알려주십니다.
독감검사비용은 약 3만 원입니다.
어린이 같은 경우 보험사에 실비가 있다면 보험청구가능합니다.
독감약은 무엇인가요?
독감약은 타미플루입니다,
1) 성인 및 13세 이상의 청소년 :
오셀타미비르로서 75 mg을 1일 2회, 5일간 경구투여 한다.
캡슐을 삼키기 어려운 성인 및 13세 이상의 청소년은 이 약 현탁용 분말을 이용하여 투약한다.
2) 1세 이상 12세 이하의 소아 : 캡슐을 삼킬 수 있는 체중이 40 kg을 초과하는 소아 환자는 이 약 현탁액 권장용량 대신 75mg 캡슐을 1일 2회 또는 30mg 캡슐과 45mg 캡슐을 1일 2회 복용할 수 있다.
다음 용량표에 따라 투여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 지식백과] 타미플루캡슐 75mg [Tamiflue Cap. 75mg] (의약품 사전)에서 확인해 주세요.
예를 들어)
몸무게 40kg인 경우 타미플루 30mg 용량을 10개씩 들어있는 2박스를 처방받습니다.
아침에 30mg 2알 저녁에 30mg 2알 * 총 5일 동안 모두 다 먹어야 합니다.
만약에 타미플루를 먹어도 고열이 지속된다면 타이레놀 같은 해열제를 먹어도 된다고 합니다.
*이 부분은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십시오.
타미플루 부작용으로는 설사 또는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 신경정신계 이상반응 보고 되었다고 합니다.
독감으로 인해서 학교에 갈 수 있나요?
독감은 자가격리 대상은 아니며 의사선생님께서 질병본부에서 정해진건 열이 내리고 48시간 후 일상생활을 해도 된다고 합니다.
초등학교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학교마다 다를 수 있느니 반드시 담임선생님께 문의해 주세요.
2023년 독감(인플루엔자) 유행 대응을 위하여 학생이 독감(인플루엔자) 확진 및 의료기관의 확진 검사를 위해 결석하는 경우, 출석인정 결석(지각, 조퇴, 결과 포함)으로 처리됨을 안내드립니다.
병원에서 인플루엔자(독감) 확진 통보를 받은 경우
1. 의사의 소견에 따라 감염성이 확인된 경우 『학교보건법』제8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2조에 따라 감염병환자 및 의사(의심) 환자 등에 대하여 등교 중지 해주세요.
2. 완치 후 ‘진료확인서’ 또는 ‘진단서’ 또는 ‘의사소견서’ 또는 ‘타미플루 처방전’을 담임선생님께 제출해 주세요. (질병명, 날짜 반드시 명시)
3. 등교중지 기간 ①해열제 복용 없이 해열 후 24시간 경과할 때까지 ②의사소견서에 명시된 날까지
보통 열내리고 48시간 후 라고 합니다만 학생의 상태따라서 담임선생님과 꼭 상의 하시기 바랍니다.
인플루엔자는 어떻게 예방할 수 있나요?
호흡기 감염병 환자와 접촉을 피하고, 올바른 손 씻기와 손으로 눈, 코 또는 입을 만지지 않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희망하는 경우 무료 예방 접종 실시 중이며, 예방접종 권장합니다.
* 열이 나면 꼭 병원에 가서 의사와 상담하세요.